한국 물 부족 국가
한국이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의견이 분분한 것으로 보이는데요.
물 부족 국가라는 것을 어디선가 땅땅 지정해주는 것이 아니기에 아직까지도 한국이 물 부족 국가가 맞다 아니다로 정보가 갈리는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.
물 부족 국가가 맞는가 ?
인터넷에, 구글에 검색만 해 보아도 글 하나마다 물 부족 국가가 맞다, 아니다로 다양한 게시글들이 게재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그렇게 조금 찾아보시다보면, 물 부족국가 라는 것을 지정하는 곳이 어디인지에 대해 알아보시게 될 것입니다,
물 부족 국가 분류하는 기관
과거에 물 부족국가 여부를 판별하던 곳은 인구행동연구소 Population Action International, PAI 였습니다.
이 곳이 분류하는 기관으로써 신임을 얻고 있었던 이유는 바로 UN의 산하기관이라는 것 때문이었습니다.
이 때문에 한 때 이 곳이 우리나라를 물 부족 국가로 분류했을 때, 한국은 UN이 지정한 물 부족 국가다! 라는 말이 생기기도 했었던 것입니다.
그러나 사실 국제인구행동연구소는 UN, 혹은 국제기구와 아무런 연관이 없는 민간단체에 해당합니다.
이 곳이 우리나라를 물 부족 국가로 지정한 때는 1993년도 였습니다.
이들이 물 부족 국가를 분류하던 기준은 바로 연간 강수량과 지역적 특성, 사용량 등을 계산하여 인구 밀집도로 나누어 계산을 했습니다. 즉, 인구 1명이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자원을 기준으로 물 부족 국가를 분류한 것입니다.
이렇게 계산한 물 부족 여부가 문제가 있는 이유는, 오히려 비가 거의 오지 않는 대신 사람도 거의 없는 사하라 사막이 물 풍요 국가에 해당한다는 아이러니한 점입니다.
요즘은 당시와 다르게 물의 재사용성, 수자원 활용 능력에 따라 물 부족에 대한 정의가 바뀌었습니다.
그러므로 해당 시기에 인구수에 대비하여 물 부족 국가를 구분하던 것은 사실 의미가 없어진 것입니다.
'진짜' UN이 발표한 물 부족 국가 분류 지도
실제로 UN의 산하기관인 UN WATER에서는 2012년에 물 부족 국가의 분류에 따른 지도를 새로 그려주었습니다.
오른편에 위치한 우리나라의 색을 확인하시면 짙은 연두색에 해당됩니다.
Little or no water scarcity, 즉 미미하거나 거의 없는 부족, 한마디로 물부족 국가가 아니라는 뜻입니다.
사실 지도를 보시면 아시다시피 경제적, 물리적 물 부족에 해당하는 국가는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.
대부분의 국가가 물을 순환시켜 끊임없이 재사용하기에 충분한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아도 무방합니다.
또다른 기관인 Aqueduct water risk atlas 는 전세계 물 위기 정보를 프로그램화 하여 보여주고 있습니다.
우리나라가 확연히 Low-Medium, 낮거나 중간 정도의 물 부족 위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.
이렇듯, 여기저기서 우리나라가 물 부족 국가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지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그래서, 한국 물 부족 국가인가?
위의 지표를 보시면 알겠지만, 대부분의 자료에서 한국은 물 부족 국가에 속하지 않습니다.
또한 대한민국은 수돗물을 식수로 사용할 수 있는 얼마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인데요, 아리수 같은 것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.
해외여행을 다녀보셨다면 경험해보셨겠지만, 유럽 대부분의 국가들은 수돗물에 석회질이 많이 포함되어있습니다. 그래서 설거지를 하고난 뒤 물기를 닦아주지 않고 두면 하얗게 남아있기도 합니다. 그래서 이들은 물 사용성이 우리보다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.
우리가 한국이 물 부족 국가가 아니라고 단언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자료는 위에서 보여드린 UN의 물 부족 국가 분류 지도 정도 입니다.
단언할 수 없다면, '물 부족 현상을 보이지 않는다' 정도로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.
'📝 정보 > 💬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고차 침수 여부 확인 방법! 한국소비자원 안내 (0) | 2022.09.17 |
---|---|
아이폰 14 pro 컬러 실물 후기 모음집 (0) | 2022.09.17 |
파일 확장자 표시 바꾸는 방법 : 파일이름 .뒤에 부분 표시하기, 한쇼 파워포인트에서 열기, .show를 .pptx로, 이메일 보낼 때 잠깐 .txt 파일로 바꿔서 보내주기 등등 (0) | 2022.09.05 |
태풍 힌남노 대비 베란다 창문 테이핑, 지금 당장 x자 아닌 ㅁ자로! (0) | 2022.09.05 |
유튜브 뮤직 음질 설정하기! 유튜브뮤직 데이터 사용량 줄이는 법/늘리는 법 (0) | 2022.09.01 |
댓글